💝 2025 지역별 효도수당 &장수수당 총정리
— 전국 지자체별 수당 종류, 지급 조건, 금액, 신청 방법까지 모두 담았습니다.
효도수당·장수수당은 금액이 크진 않아도 그 의미와 지역별 차이를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.
> 🌷 효도수당이란?
효도수당은 주로 3세대 이상 가정 또는 부모님을 부양하는 세대에게 지급하는 지방자치단체 복지수당입니다. 지자체에 따라 “효행장려금”, “효 가정 지원금”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.
지급 조건은 다양하지만 보통 아래 요건이 포함됩니다:
- 3세대 또는 4세대 이상 가정 구성
- 부모 연령 기준 (만 70세, 75세, 80세 등)
- 일정 기간 동일 주소지 거주 (예: 1년 이상)
- 세대 내 부양자 요건 충족
> 🏠 전국 효도수당 지원 현황 예시
지역 | 수당 명칭 | 지원 대상 | 지급 금액 |
---|---|---|---|
세종특별자치시 | 효행장려금 | 만 85세 이상 부모 + 3세대 이상 | 월 10만 원 |
수원시 (경기) | 효도수당 | 80세 이상 부모 포함 3세대 가정 | 월 5만 원 (반기별) |
양주시 (경기) | 효행장려금 | 만 80세 이상 부모 부양 | 월 3만 원 |
과천시 (경기) | 효행장려금 | 만 75세 이상 포함 3대 이상 | 월 3만 원 |
고양시 (경기) | 효 가정 수당 | 4대 이상 가정 | 월 7만 원 |
제천시 (충북) | 효도수당 | 70세 이상 부모 포함 4대 이상 | 월 5만 원 |
아산시 (충남) | 효도수당 | 80세 이상 부모 포함 3세대 이상 | 월 5만 원 |
나주시 (전남) | 효도수당 | 만 70세 이상 부모 포함 4대 이상 | 월 5만 원 |
사천시 (전남) | 효도수당 | 4대 이상 가정 | 설·추석 각 70만 원 |
동구 (인천) | 효도수당 | 4세대 이상 가정 | 월 10만 원 |
남동구 (인천) | 효도수당 | 80세 이상 부모 포함 3년 거주 | 반기 5만 원 |
남구 (광주) | 장수효도수당 | 3세대 효도가정 | 반기 지급 |
중구 (부산) | 효·사랑 나눔 | 3세대 이상 가정 | 별도 장수축하금 지급 가능 |
원주시 (강원) | 효행장려금 | 만 85세 이상 부모 포함 3대 이상 | - |
장수군 (전북) | 노부모 효도수당 | 노부모 부양 가정 | - |
완주군 (전북) | 효가정 지원 | 4세대 이상 가정 | - |
보령시 (충남) | 효도수당 | 4대 이상 가정 | - |
보은군 (충북) | 효도수당 | 85세 이상 포함 3세대 이상 | - |
진주시 (경남) | 효도수당 | 4대 이상 가정 | - |
함안군 (경남) | 효도수당 | 3대 이상 가정 | - |
익산시 (전북) | 효도수당 | 4대 이상 가정 | - |
정읍시 (전북) | 효행장려금 | 4대 이상 가정 | - |
순창군 (전북) | 3세대 효도수당 | 70세 이상 포함 | 월 8만 원 |
청주시 (충북) | 효도수당 | 4대 이상 거주 1년 이상 | 월 5만 원 |
충주시 (충북) | 효도수당 | 4대 이상 또는 100세 부모 참여 | - |
의정부시 (경기) | 효도수당 | 부모 부양 가정 | 월 3만 원 |
양평군 (경기) | 효도수당 | - | - |
동작구 (서울) | 효도수당 | - | - |
영천시 (경북) | 효도수당 | - | - |
연수구 (인천) | 효도수당 | - | - |
거창군 (경남) | 효도수당 | 4대 이상 | - |
> 🎂 장수수당이란?
장수수당은 일정 나이 (보통 만 80세, 90세, 100세 이상) 어르신께 지급되는 경로효친 수당입니다. 일부 지자체는 장수축하금이라는 명목으로 1회성 금액을 지급하기도 합니다.
> 👵 장수수당 지원 현황 예시
지역 | 수당 종류 | 지원 대상 | 지급 금액 / 비고 |
---|---|---|---|
춘천시 | 장수수당 | 1922.12.31 이전 출생 (만 90세 이상) | 월 2만 원 |
안산시 | 장수수당 | 만 85세 이상, 기초연금 미수급자 | 월 3만 원 / 100세 시 50만 원 |
부평구 (인천) | 장수수당 | 만 90세 이상, 3년 이상 거주 | 90~94세: 연 30만 / 100세: 연 100만 |
중구 (서울) | 장수수당 | 만 90세 이상 | 90세: 20만, 95세: 30만, 100세: 50만 |
노원구 (서울) | 장수수당 | 만 90세 이상 | 90세: 10만, 100세: 100만 |
광진구 (서울) | 장수수당 | 만 90세 이상 | 30만 원 (생일 달) |
제주도 | 장수수당 | 만 80세 이상, 1년 이상 거주 | 월 2만5천 원 |
화성시 | 장수수당 | 만 85세 이상, 기초연금 미수급자 | 월 3만 원 |
달성군 (대구) | 장수수당 / 장수축하금 | 만 100세 이상, 1년 이상 거주 | 1회 100만 원 |
대전 | 장수수당 | 만 90세 이상 / 100세 이상 | 90세: 30만, 100세: 100만 |
울산 북구 | 장수수당 | 만 90세 이상 | 30만 원 |
울주군 (울산) | 효도이용권 | 만 65세 이상 | 분기별 1만5천 원 (목욕·미용비 등) |
의정부시 | 장수수당 | 만 100세 이상 | 100만 원 (생일 달) |
안성시 | 장수수당 | 만 100세 이상 | 1회 100만 원 |
철원군 | 장수수당 | 1922년 이전 출생자 | 월 2만 원 |
울진군 | 만 90세 이상 | 90세: 10만, 100세: 50만 | |
구미시 | 장수축하금 | 만 100세 이상, 1년 이상 거주 | 100만 원 1회 |
> 📝 신청 방법 및 절차
📍 신청처: 주소지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
📑 필요 서류: 신분증, 주민등록등본, 통장 사본, 신청서, 가족관계증명서 등
⏰ 신청 시기: 연중 가능하나 일부 지역은 명절 또는 분기별 제한 있음
> ⚠️ 유의사항
- 자동 지급이 아닌 경우 직접 신청해야 합니다.
- 일부 지역은 온라인 신청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.
- 거주 기간, 세대 구성, 연령 조건 등이 지자체마다 다릅니다.
- 기초연금 등 타 복지급여와의 중복 지급 제한 여부 확인 요망